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54)
1116 : 사칙연산 계산기 Q> 두 정수를 입력받아 아래와 같이 출력하시오. 예) 3 2 3+2=5 3-2=1 3*2=6 3/2=1 입력 두 정수 a, b를 입력받는다. 출력 a와 b에 대한 사칙연산 결과를 양식에 맞추어 출력한다. A> import math a, b = map(int, input().split()) print('{0}+{1}={2}'.format(a, b, a + b)) print('{0}-{1}={2}'.format(a, b, a - b)) print('{0}*{1}={2}'.format(a, b, a * b)) print('{0}/{1}={2}'.format(a, b, math.floor(a / b))) W> math.flooar를 사용해 내림을 사용한다. #> admin, 2019년 10월 09일, http..
1115 : 두 정수의 덧셈 (64비트) Q> 두 정수의 덧셈의 결과를 출력한다. 두 수는 int 범위를 넘어선 64비트 정수형 값이다. 입력 두 정수 a, b가 입력된다. (-263 python 에서 64비트 수치 자료형은 float이다. #> admin, 2019년 10월 09일, http://codeup.kr
1114 : 두 정수의 덧셈 Q> 두 정수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한다. 입력 두 정수를 입력받는다. 출력 두정수의 합을 출력한다. A> n1, n2 = map(int, input().split()) print(n1 + n2) W> 정수의 합은 + 를 사용한다. #> admin, 2019년 10월 09일, http://codeup.kr
1113 : 바꿔서 출력하기 Q> 두 정수를 입력받아 순서를 바꿔서 출력하시오. 입력 두 정수를 입력받는다. 출력 순서를 바꿔서 출력한다. A> n1, n2 = map(int, input().split()) print(n2, n1) W> 입력 받은 변수를 바꿔서 출력 #> admin, 2019년 10월 09일, http://codeup.kr
1112 : 두 정수 출력 Q> 입력 받은 두 정수를 출력한다. 입력 두 정수를 차례대로 입력받는다. 출력 입력받은 순서대로 출력한다. A> n1, n2 = map(int, input().split()) print(n1, n2) W> map #> admin, 2019년 10월 09일, http://codeup.kr
1111 : %출력 Q> 어떤 정수가 입력되면 %를 붙여 출력하시오. 입력 정수 하나가 입력된다.(범위: 0 ~ 100) 출력 입력된 정수에 %를 붙여 출력한다. A> n = input() print('{0}%'.format(n)) W> format을 사용하여 출력 #> admin, 2019년 10월 09일, http://codeup.kr
1110 : 정수 그대로 출력하기 Q> 입력받은 정수를 그대로 출력한다. (scanf앞에 불필요한 안내 문구를 출력하지 않도록 합니다.) 입력 정수를 하나 입력받는다. 출력 입력받은 정수를 출력한다. A> n = int(input()) print(n) W> int #> admin, 2019년 10월 08일, http://codeup.kr
1106 : int의 범위 Q> 앞으로 많이 사용될 변수 int 자료형의 범위를 알아내는 것이 이번 문제의 정답이다. int는 정수형이고 32비트 자료형이다. 2진수로 나타내면 가장 작은 숫자는 1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이고, 가장 큰 숫자는 0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이다. 우리는 16진수 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쉽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입력 입력은 없다. 출력 int형의 가장 작은수a와 int형의 가장 큰수b를 차례대로 공백으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출력 예) a b a = -2147483648 b = 2147483647 print(a, b) W> int의 범위 #> admin, 2019년 10월 08일, http://codeu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