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매 순간 확인하며 차량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운전 습관을 파악하는 페이지
1-1 속력
1-2 RPM
1-3 냉각수온도
1-4 배터리전압
1-5 DPF 포집량
1-6 배기온도
1-7 순간연비
1-8 엔진부하량
PAGE 2: DPF & 오일류 집중 관리
디젤차의 심장인 DPF와 엔진/미션의 건강 상태를 심도 있게 관리하는 페이지
2-1 DPF 포집거리
2-2 EGR 개도율
2-3 엔진오일온도
2-4 미션오일온도
2-5 엔진오일수명
2-6 남은연료량
2-7 악셀포지션
2-8 DPF누적시간
PAGE 3: 엔진/터보 성능 분석
내 차의 실제 성능을 눈으로 확인하고, 출력 관련 이상 징후를 감지하는 페이지
3-1 마력
3-2 토크
3-3 부스트압력
3-4 VGT 개도율
3-5 악셀포지션
3-6 연료분사량
3-7 흡입공기량
3-8 흡입공기온도
PAGE 4: 주행 기록 및 안전 확인
주행 기록을 관리하고 타이어 공기압 등 안전과 직결된 사항을 점검하는 페이지
4-1 DAY 거리
4-2 DAY 연비
4-3 누적 T 연비
4-4 누적 T 거리
4-5 TPMS
4-6 시동경과시간
4-7 조향각
4-8 원하는 값
PART 1. 핵심 관리 항목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정보)
냉각수온도
▲ 보는 법: 엔진의 열을 식혀주는 냉각수의 온도로, 사람의 체온과 같습니다.
🟢 정상값: 85 ~ 97℃ (주행 중). 이 범위에서 엔진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
🔴 위험 신호: 100℃ 이상으로 계속 오르거나, 주행 내내 70℃를 못 넘으면 각각 엔진 과열, 서모스탯 고장을 의심해야 합니다.
배터리전압
▲ 보는 법: 배터리와 발전기(알터네이터)의 건강 상태를 보여줍니다.
🟢 정상값: 13.5 ~ 14.7V (주행 중). 시동 끈 후에는 12.0 ~ 12.8V 입니다.
🔴 위험 신호: 주행 중 13.0V 이하로 떨어지면 발전기 고장으로 곧 방전될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온도
▲ 보는 법: 엔진 내부 오일의 온도로, 엔진의 건강과 직결됩니다.
🟢 정상값: 85 ~ 105℃ (주행 중). 냉각수보다 조금 늦게 오르고, 조금 더 높습니다.
🔴 위험 신호: 120℃ 이상으로 계속 유지된다면 오일 냉각 기능 저하나 오일량 부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미션오일온도
▲ 보는 법: 자동 변속기 내부 오일의 온도로, 미션의 수명을 좌우합니다.
🟢 정상값: 80 ~ 100℃ (주행 중).
🔴 위험 신호: 110℃ 이상으로 계속 유지된다면 미션에 무리를 주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DPF 포집량
▲ 보는 법: 매연저감장치(DPF)에 쌓인 매연(재)의 양(%)입니다.
🟢 정상값: 0 ~ 100% 사이를 주기적으로 오르내립니다.
🔴 위험 신호: 100%가 넘어도 DPF 재생(연소)이 시작되지 않으면 DPF 막힘의 원인이 됩니다.
배기온도
▲ 보는 법: DPF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확실한 지표입니다.
🟢 정상값: 평상시 200~400℃. DPF 재생 시 550 ~ 650℃로 치솟습니다. (매우 정상적인 현상)
🔴 위험 신호: DPF 포집량이 100%인데 배기온도가 오르지 않으면 DPF가 작동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TPMS
▲ 보는 법: 각 타이어의 공기압(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입니다.
🟢 정상값: 차종별 권장값(보통 36~40 Psi)에 맞춰 4짝 모두 균일한 상태.
🔴 위험 신호: 특정 타이어만 압력이 계속 떨어지면 펑크, 전체적으로 낮으면 즉시 보충이 필요합니다.
엔진오일수명
▲ 보는 법: 오일의 상태를 기반으로 교환 시기를 예측해주는 값입니다.
🟢 정상값: 100%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감소합니다.
🔴 위험 신호: 10% 이하로 떨어지면 빠른 시일 내에 엔진오일 교환을 준비해야 합니다.
PART 2. 엔진 및 성능 관련 (출력과 상태 진단)
RPM
▲ 보는 법: 1분당 엔진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입니다.
🟢 정상값: 공회전 시 700~800, 주행 중 1500~2500 사이를 주로 사용합니다.
🔴 위험 신호: RPM이 불안정하게 오르내리거나(엔진 부조), 특정 구간에서 힘없이 RPM만 오르면 변속기(미션) 문제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엔진부하량
▲ 보는 법: 현재 엔진이 얼마나 힘을 쓰고 있는지 보여주는 % 값입니다.
🟢 정상값: 예열 후 공회전 시 20~30%, 정속 주행 시 30~60%.
🔴 위험 신호: 공회전 시 부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평소보다 부하량이 계속 높게 측정되면 엔진 출력 저하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부스트압력
▲ 보는 법: 터보차저가 공기를 얼마나 강하게 압축해서 엔진에 밀어 넣는지 보여줍니다.
🟢 정상값: 가속 시 0.5 ~ 1.5 bar 이상 힘차게 올라갑니다.
🔴 위험 신호: 가속해도 압력이 오르지 않거나, '쉭쉭' 바람 새는 소리가 들리면 터보나 인터쿨러 호스 파손을 의심해야 합니다.
마력 / 토크
▲ 보는 법: 현재 엔진이 발휘하는 실제 출력과 힘을 보여줍니다.
🟢 정상값: 가속 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수치가 유동적으로 변합니다. (정보성 데이터)
🔴 위험 신호: 평소보다 출력이 안 나온다고 느낄 때 객관적인 데이터로 참고할 수 있습니다.
VGT 개도율
▲ 보는 법: 터보의 효율을 조절하는 VGT 장치의 열림 정도(%)입니다. 부스트압력과 함께 봅니다.
🟢 정상값: 주행 상황에 따라 0~100% 사이에서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 위험 신호: 특정 값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면 터보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EGR 개도율
▲ 보는 법: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밸브 열림 정도(%)입니다.
🟢 정상값: 정속 주행 시 활발히 움직이고, 공회전이나 급가속 시에는 닫힙니다(낮은 %값).
🔴 위험 신호: 공회전인데 수치가 높거나, 가속하는데 수치가 안 떨어지면 밸브 고착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엔진 부조, 출력 저하의 원인)
연료분사량
▲ 보는 법: 엔진에 현재 분사되고 있는 연료의 양입니다.
🟢 정상값: RPM, 엔진부하량과 비례하여 움직입니다. (정보성 데이터)
🔴 위험 신호: 공회전 시 분사량이 불규칙하다면 인젝터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흡입공기량
▲ 보는 법: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입니다.
🟢 정상값: RPM과 비례하여 수치가 오르내립니다. (정보성 데이터)
🔴 위험 신호: 에어클리너가 막히거나 흡기 계통에 문제가 생기면 출력이 저하되고, 이 값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흡입공기온도
▲ 보는 법: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입니다.
🟢 정상값: 외부 기온과 비슷하거나, 정체 구간에서는 엔진 열로 인해 조금 더 높게 측정됩니다.
🔴 위험 신호: 특별한 위험 신호는 없으나, 인터쿨러의 성능을 가늠하는 참고자료로 활용됩니다.
악셀포지션
▲ 보는 법: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얼마나 깊게 밟았는지(%) 보여줍니다.
🟢 정상값: 밟는 깊이에 따라 0~100%로 표시됩니다.
🔴 위험 신호: 밟지 않았는데 0%가 아니거나, 끝까지 밟아도 100%가 안 되면 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PART 3. 주행 및 연비 정보
속력
현재 차량의 속도입니다. 계기판보다 더 정확한 실시간 속도를 보여줍니다.
기어단수
현재 변속기의 기어 위치(P, R, N, D)와 단수(1~6단)를 보여줍니다.
순간연비
지금 이 순간의 연비(km/L). 연비 운전의 핵심 지표입니다.
DAY 연비
오늘 하루(시동을 건 후)의 평균 연비입니다.
누적 T 연비
리셋(Reset) 전까지 누적된 평균 연비입니다.
DAY 거리
오늘 하루 주행한 총거리입니다.
누적 T 거리
리셋 전까지 누적된 총주행거리입니다.
남은연료량
연료 탱크에 남은 연료의 양을 %로 보여줍니다. 주유 경고등보다 정확합니다.
초당소비량
1초에 소비되는 연료의 양. 순간연비와 비슷한 개념의 데이터입니다.
PART 4. 기타 편의 및 정보
DPF 포집거리
마지막 DPF 재생(연소)이 끝난 후부터 현재까지 주행한 거리. DPF 재생 주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시동경과시간
시동을 켠 후부터 지금까지의 총 경과 시간입니다.
크루즈 속도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켰을 때, 설정해 놓은 속도를 보여줍니다.
배터리잔량
배터리 전압(V)을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충전 상태(%)로 보여주는 값입니다.
조향각
핸들(스티어링 휠)이 얼마나 돌아가 있는지 각도로 보여줍니다. 주차 시 유용합니다.
동력전달률
엔진에서 발생한 힘이 바퀴까지 전달되는 효율(%)을 나타내는 참고 데이터입니다.
쉐보레 차량 배터리 데이터
배터리 잔량 (%)
▲ 보는 법: 현재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의 양을 퍼센트(%)로 보여줍니다. 가장 직관적으로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값입니다.
🟢 정상 상태:
정상 주행 후: 보통 70% ~ 100% 사이의 값을 유지합니다. 쉐보레 차량의 충전 시스템(알터네이터)은 배터리 보호와 연비 향상을 위해 100% 완충을 계속 유지하기보다는, 일정 수준까지 충전되면 발전을 쉬는 효율적인 로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수점 표시: 쉐보레 차량은 배터리 잔량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예: 71.2%) 정밀하게 표시해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 주의 신호:
장기 주차 후: 50% 이하로 떨어져 있다면 주의가 필요하며, 장시간 운행하여 충전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주행을 해도 잔량이 잘 오르지 않을 때: 배터리 수명이 다 되어 충전 효율이 떨어졌거나, 발전기(알터네이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충전 전류량 (A)
▲ 보는 법: 현재 배터리로 전기가 얼마나 들어가고(+) 또는 빠져나가고(-) 있는지를 실시간 전류(암페어, A) 값으로 보여줍니다.
🟢 정상 상태:
시동 직후 또는 주행 중 가속 시: 배터리 충전이 활발히 일어나므로 플러스(+) 값을 나타냅니다. (예: +5.3A)
정체 구간 또는 정차 시 (ISG 작동 등): 발전이 멈추고 배터리 전기를 사용할 때 마이너스(-) 값을 나타냅니다.
🔴 주의 신호:
주행 내내 마이너스(-) 값이 지속될 때: 발전기가 배터리를 전혀 충전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으로, 발전기 고장을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습니다. 즉시 점검이 필요합니다.
★ 쉐보레 차량의 "디폴트(Default) 상태" 특징 ★
이것이 쉐보레 차량 오너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이므로 잘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 현상: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했거나, 장기간 주차, 방전 등으로 인해 차량 ECU가 배터리의 정확한 기준점(최대 충전량, 현재 상태 등)을 일시적으로 잃어버리는 경우, DAG-3 화면에 사진처럼 고정된 기본값(Default)을 표시하는 현상입니다.
차종별 디폴트 값 예시:
캡티바: 69% 부근의 고정값
올란도: 70% 부근의 고정값
그 외 쉐보레 차량: 대부분 60% 후반대의 고정값을 표시합니다.
🟢 정상으로 돌아오는 방법:
해결책은 "주행"입니다. 특별한 조치 없이 평소처럼 30분 이상 충분히 주행하면, 차량 ECU와 배터리 센서(IBS)가 서로 통신하며 새로운 기준점을 찾게 됩니다.
기준점을 찾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배터리 잔량' 값이 고정 상태에서 벗어나 실시간으로 변하는 정상적인 수치를 표시하기 시작합니다.
🔴 위험 신호가 아닌가요?: 아닙니다. 이는 고장이 아니라, 차량이 배터리 상태를 다시 학습하고 측정하는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배터리를 막 교체했거나 방전된 적이 있다면 "아, 지금 내 차가 배터리 상태를 다시 배우고 있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원되지 않는 데이터
배터리 노화 진행률: 현대/기아 차량과 달리 쉐보레 차량은 DAG-3에서 배터리의 노화도(수명) 데이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배터리 수명은 '배터리 잔량'의 충전 속도나 '배터리 전압'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유추해야 합니다.
배터리 상태를 가늠 방법
시동 시 '전압 강하' 테스트 (가장 확실한 방법)
이것이 사용자가 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배터리 수명 테스트입니다.
측정 방법:
최소 6시간 이상 주차하여 차량과 배터리를 완전히 식힙니다. (냉간 상태)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은 걸지 말고, ACC 또는 ON 상태로 만들어 DAG-3 전원을 먼저 켭니다.
DAG-3에 표시되는 '배터리 전압' 숫자를 주시하면서, 브레이크를 밟고 시동 버튼을 누릅니다.
스타트모터가 "드르륵!" 하고 도는 바로 그 순간, 전압이 어디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가는지 확인합니다.
판단 기준:
🟢 건강한 배터리: 전압이 10.5V 이상에서 방어하며 시원하게 시동이 걸립니다.
🟡 노화 시작/주의: 전압이 9.5V ~ 10.4V 사이까지 떨어집니다. 아직 사용은 가능하지만 수명이 다 되어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 위험/교체 임박: 전압이 9.5V 아래로 떨어집니다. "끼기기긱..." 하거나 평소보다 힘겹게 시동이 걸리며, 곧 방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방전 위험이 큽니다.
충전 및 방전 속도 관찰
관찰 방법:
방전 속도: 주차 후 시동을 끈 상태에서 음악을 듣거나 블랙박스가 주차 녹화를 할 때, DAG-3의 '배터리 잔량(%)'이 예전보다 눈에 띄게 빨리 떨어지는지 관찰합니다.
충전 속도: 주행 시 '배터리 잔량(%)'이 예전만큼 빠르게 회복되지 않거나, 특정 구간(예: 80%) 이상으로는 잘 충전되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지 관찰합니다.
판단 기준:
🟢 건강한 배터리: 전기가 천천히 닳고, 주행 시 꾸준히 충전됩니다.
🔴 노화된 배터리: 마치 수명이 다 된 스마트폰 배터리처럼, 충전은 빨리 되는 것 같아도 사용할 때는 전기가 '순식간에' 사라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안정화 전압(Resting Voltage) 확인
측정 방법: '전압 강하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6시간 이상 주차 후, 시동을 걸기 전 DAG-3에 표시되는 순수 배터리 전압을 확인합니다.
판단 기준:
🟢 정상: 12.4V ~ 12.8V
🟡 주의: 12.1V ~ 12.3V
🔴 위험: 12.0V 이하 (완전 방전 상태에 가까움)
결론 및 요약
1. 전압 강하 : 테스트 시동 거는 순간의 최저 전압 9.5V 미만으로 떨어질 때
2. 충전/방전 : 속도 전기가 예전보다 빨리 닳는지 눈에 띄게 방전 속도가 빠를 때
3. 안정화 전압 : 장기 주차 후 시동 전 전압 12.0V 미만일 때
'ETC > DailyRout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차]다그 설치 후 바뀐 운전 습관 & 공임천국 케이블 정리 후기 (1) | 2025.07.03 |
---|---|
[중고차]쉐보레 2015 유로5 캡티바, DPF 걱정 끝! 다그(DAG-3) 설치 후기 (0) | 2025.06.27 |
[중고차]NICE블루마크 자동차 정비 이력 조회 (1) | 2025.05.11 |
[중고차]송탄공임천국 엔진오일 교환 후기 (0) | 2025.05.03 |
[중고차]P02E4 수리 하고 왔습니다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