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entOS/Study

[Study46]Linux 장치 인식과 디스크 관리 4

반응형

'mkfs'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mkfs' 명령어는 mkfs, mkfs.ext2, mkfs.ext3, mkfs.ext4 및 mkfs.vfat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mkfs –t ext4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 –t ext3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3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m 10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10% 예약 블록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L testlabel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testlabel" 라벨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b [1025|2048|4096]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1025, 2048 또는 4096 바이트 블록 크기를 갖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은 Linux 시스템에서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디스크가 올바르게 포맷되고 데이터를 저장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mkfs 명령어를 통한 파일 시스템 생성

mkfs 명령어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하나의 장치(보통 하드디스크 파티션)를 대상으로 합니다. 장치 이름은 /dev/sda1, /dev/sdb2와 같은 디스크 장치 이름 또는 /, /usr/, /home과 같은 파일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경로가 사용됩니다. 블럭 인자는 그 파일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블럭의 개수입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당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데 필요한 특정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파일 시스템의 구성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mkfs.ext4 명령은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이 파일 시스템은 대용량 파일 및 디렉토리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mkfs 명령은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명령어 형식]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포함하고 있으며, 파일 시스템의 유형, minfree 설정, 라벨, 블록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명령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입니다.

# mkfs –t ext4 /dev/sdb1        (-t : 파일 시스템 유형)
# mkfs.ext4 /dev/sdb1

# mkfs -t ext3 /dev/sdb1
# mkfs.ext3 /dev/sdb1

# mkfs -t ext2 /dev/sdb1
# mkfs.ext2 /dev/sdb1

# mkfs.ext4 -m 10 /dev/sdb1     (-m : minfree)
# mkfs.ext4 -L mkfs /dev/sdb1   (-L : 라벨)
# mkfs.ext4 -b [1024|2048|4096] /dev/sdb1  (-b : 블록 크기)

파일 시스템 유형에 따라 적절한 명령어를 선택하여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minfree 설정을 통해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조절하거나, 라벨 설정을 통해 파일 시스템을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블록 크기를 지정하여 파일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만들어진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dumpe2f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 dumpe2fs /dev/sda1

디바이스 /dev/sda1의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dumpe2fs /dev/sda1"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블록 크기, 파일 시스템의 블록 수 및 아이노드 수와 같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h" 옵션을 사용하여 정보를 더 읽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 오류를 해결하거나 추가 분석을 위해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유용합니다.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m minimum percentage로 파일 시스템에 마련할 여분의 공간을 관리자가 결정하는 옵션으로 -m을 사용하지 않으면 newfs 명령어가 파일 시스템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값을 계산하여 사용한다. -m 다음에는 여분의 공간을 명시하는데 전체 파일 시스템 중에서 몇 %를 여분으로 둘 것인지를 숫자로 명시
-v 작업 상태, 결과를 자세하게 보여줌
-t 만들어질 파일 시스템의 형태를 지정

mkfs 명령어를 통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과 그 옵션들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파일 시스템 유형에 맞는 옵션을 선택하여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dumpe2fs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은 mkfs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mkfs 명령어는 다양한 유형으로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mkfs.ext4 명령어는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mkfs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 Linux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의 사용 방법을 아래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mkfs –t ext4 /dev/sdb1

위의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이 때, 파일 시스템 유형은 -t 옵션을 통해 지정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kfs.ext4 /dev/sdb1

위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이 방법은 -t 옵션을 통해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 자체에서 파일 시스템 유형이 지정되기 때문에 더욱 간편합니다.

mkfs 명령어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다른 파일 시스템 유형은 ext3입니다. 아래는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 mkfs –t ext3 /dev/sdb1

위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또한, 'mkfs.ext3' 명령어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 mkfs.ext3 /dev/sdb1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여 길이를 늘리겠습니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때, 예약 블록 및 라벨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10% 예약 블록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m 10 /dev/sdb1

또한, 아래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testlabel" 라벨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L testlabel /dev/sdb1

마지막으로, 'mkfs.ext4' 명령어는 블록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블록 크기가 1025, 2048 또는 4096 중 하나인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b [1025|2048|4096] /dev/sdb1

위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1025, 2048, 또는 4096 바이트 블록 크기를 갖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은 Linux 시스템에서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디스크가 올바르게 포맷되고 데이터를 저장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mkfs 명령어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하나의 장치(보통 하드디스크 파티션)를 대상으로 합니다. 장치 이름은 /dev/sda1, /dev/sdb2와 같은 디스크 장치 이름이나 /, /usr/, /home과 같은 파일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경로가 사용됩니다. 블럭 인자는 그 파일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블럭의 개수입니다.

예를 들어, mkfs.ext4 명령은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이 파일 시스템은 대용량 파일 및 디렉토리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mkfs 명령은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파일 시스템 유형에 따라 적절한 mkfs 명령어를 선택하여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minfree 설정을 통해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조절하거나, 라벨 설정을 통해 파일 시스템을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블록 크기를 지정하여 파일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만들어진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dumpe2fs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는 해당 파일 시스템의 많은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 시스템이 얼마나 많은 공간을 사용하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그리고 파일 시스템이 언제 생성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의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파일 시스템 유형을 선택합니다.
    • mkfs.[TAB][TAB]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mkfs.ext2, mkfs.ext3, mkfs.ext4, mkfs.vfat 등이 있습니다.
    # mkfs.[TAB][TAB]
    mkfs     mkfs.cramfs   mkfs.ext2    mkfs.ext3    mkfs.msdos   mkfs.vfat
    
  2.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디바이스를 지정합니다.
    • mkfs.[파일 시스템 유형] /dev/[디바이스]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파일 시스템 유형]은 선택한 파일 시스템 유형을 입력합니다. /dev/[디바이스]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디바이스를 지정합니다.
    # mkfs.ext4 /dev/sdb1
    
  3. 파일 시스템에 라벨을 지정하거나 여분의 공간을 마련합니다.
    • mkfs.[파일 시스템 유형] -L [라벨 이름] /dev/[디바이스] 명령어를 입력하여 라벨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mkfs.[파일 시스템 유형] -m [여분의 공간 퍼센트] /dev/[디바이스]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일 시스템에 여분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mkfs.ext4 -m 1 /dev/sdc1
    
  4. 파일 시스템의 블록 크기를 지정합니다.
    • mkfs.[파일 시스템 유형] -b [블록 크기] /dev/[디바이스]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일 시스템의 블록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mkfs.ext4 -b 4096 /dev/sdb1
    
  5. dumpe2fs 명령어를 사용하여 생성된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umpe2fs /dev/[디바이스]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일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umpe2fs /dev/sdb1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과 각 단계별로 필요한 코드를 설명드렸습니다.

 

파일 시스템 minfree 공간 생성

minfree(Minimum Free Space) : 파일시스템(EX: ext3)이 풀(Full) 났을 때 관리자만 쓸수 있는 공간으로 예약된 공간(0% ~ 50%, Default : 5%)

사용법

# mkfs -t ext4 /dev/sdb1

위의 예시에서는 /dev/sdb1 장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파일 시스템 유형 지정하기

# mkfs -t ext4 /dev/sdb1
# mkfs.ext4 /dev/sdb1

# mkfs -t ext3 /dev/sdb1
# mkfs.ext3 /dev/sdb1

# mkfs -t ext2 /dev/sdb1
# mkfs.ext2 /dev/sdb1

# mkfs.vfat /dev/sdb1

파일 시스템 유형에 따라 적절한 명령어를 선택하여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minfree 설정하기

# mkfs.ext4 -m 10 /dev/sdb1

-m 옵션을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의 여유 공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10% 예약 블록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벨 설정하기

# mkfs.ext4 -L testlabel /dev/sdb1

-L 옵션을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에 라벨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testlabel" 라벨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블록 크기 설정하기

# mkfs.ext4 -b 1024 /dev/sdb1
# mkfs.ext4 -b 2048 /dev/sdb1
# mkfs.ext4 -b 4096 /dev/sdb1

-b 옵션을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의 블록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명령어는 /dev/sdb1 장치에 1024, 2048 또는 4096 바이트 블록 크기를 갖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파일 시스템 minfree 공간 생성

minfree는 파일 시스템(EX: ext3)이 풀(Full) 났을 때 관리자만 쓸수 있는 공간으로 예약된 공간(0% ~ 50%, Default : 5%)입니다. 파일 시스템에서 minfree 공간을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릅니다:

mkfs.ext4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에서 minfree 공간을 생성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슈퍼 사용자를 위해 예약해야 할 공간의 양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전체 디스크 공간의 5%가 슈퍼 사용자를 위해 예약됩니다.

# mkfs.ext4 -m 10 /dev/sdb1

minfree 공간을 생성한 후, 파일 시스템은 32번의 마운트 또는 180일마다 자동으로 확인됩니다. 관리자는 tune2fs -c 또는 tune2fs -i 명령을 사용하여 이 설정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 tune2fs -c 0 /dev/sdb1
# tune2fs -i 0 /dev/sdb1

minfree 공간은 파일 시스템 충돌과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 공간을 생성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운영 체제는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파일 시스템이 이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일 시스템은 충분한 공간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 블럭 사이즈 지정

파일 시스템 생성하기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mkfs'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는 다양한 유형의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kfs.ext4', 'mkfs.ext3', 'mkfs.ext2' 등이 있습니다. 아래는 'mkfs' 명령어를 사용한 파일 시스템 생성 방법의 예시입니다.

# mkfs –t ext4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 –t ext3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3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m 10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10% 예약 블록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L testlabel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testlabel" 라벨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fs.ext4 –b [1025|2048|4096] /dev/sdb1

이 명령은 /dev/sdb1 장치에 1025, 2048 또는 4096 바이트 블록 크기를 갖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파일 시스템 생성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디스크가 올바르게 포맷되고 데이터를 저장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생성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마운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아래는 파일 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를 수행하는 예시 코드입니다.

# mkfs.ext4 -b 4096 /dev/sdb1
# mkdir -p /disk1
# mount /dev/sdb1 /disk1
# df -h
# cd
# umount /disk1
# df -h

위 예시에서는 'mkfs.ext4' 명령어를 사용하여 /dev/sdb1 장치에 4096바이트 블록 크기를 갖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그 다음 "/disk1" 경로에 마운트하고, 생성된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df'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합니다. 마운트가 끝나면 'u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마운트를 해제합니다.

아래는 디스크를 추가하여 작업하는 방법과 각 단계별로 나눈 코드 설명입니다.

 

디스크 인식

  • kudzu 실행
# ntsysv
# chkconfig kudzu on

디스크 인식은 시스템에서 새로운 디스크를 인식하고,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디스크를 인식하면 이후 단계에서 디스크를 파티션 작업하고,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서버 Power OFF / 디스크 장착 / 부팅 디스크를 추가한 이후, 서버의 전원을 끄고, 디스크를 장착하고, 서버를 다시 부팅합니다.
  2. 파티션 작업
  • 디스크 인식 확인
# ls -l /dev/sd?
# fdisk -l

파티션 작업은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는 과정입니다. 파티션을 나누면 각 파티션마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 작업을 위해서는 먼저 디스크 인식을 확인해야 합니다.

  • 파티션 설정
# fdisk /dev/sdb

파티션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fdis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fdisk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파일시스템 생성

  • ext4 파일 시스템 생성
# mkfs.ext4 /dev/sdb1

파일 시스템은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조체입니다. 디스크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면 운영 체제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읽어오는 것이 가능합니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mkfs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마운트 작업

  •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 mkdir /disk1

마운트 디렉토리는 파일 시스템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렉토리입니다. 마운트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mkdir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마운트 실행
# mount /dev/sdb1 /disk1

마운트 실행은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디렉토리에 연결하는 과정입니다. 마운트를 실행하면 마운트 디렉토리에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부팅시 자동 마운트 설정
# vi /etc/fstab

부팅시 자동 마운트 설정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마운트를 실행하는 설정입니다. 자동 마운트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fstab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위 코드들은 디스크를 추가하여 작업할 때 각 단계별로 필요한 코드들입니다. 디스크 인식, 파티션 작업, 파일 시스템 생성, 마운트 작업 등의 단계를 따라가며 코드를 입력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을 보다 자세히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최소 남은 공간 (Minimum Free Space)

[1] 최소 남은 공간 (Mininum Free Space)

최소 남은 공간은 총 공간의 퍼센트로 할당됩니다. 이 공간은 파일 시스템이 만들어질 때 예약되어 생성됩니다. 기본 예약 값은 ((64MB / 파티션 크기) * 100)이며, 0%에서 50% 사이의 값으로 할당됩니다. 이 값은 근사값으로 결정됩니다.

최소 남은 공간은 파일 시스템이 가득 찼을 때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최소 공간으로 남겨져 있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파일 시스템이 가득 차면 root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예약됩니다.

Minfree 공간은 하나의 파티션에 0%에서 50% 사이의 값으로 정의됩니다. 파티션이 가득 찬 경우, Minfree 공간은 root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일반 사용자는 이 공간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파일 시스템에서 Minfree 공간은 0(zero)일 수 없습니다. 최소 minfree는 0%입니다.

파일 시스템 생성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 코드는 minfree 설정을 바꾸며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예시입니다. 코드의 각 단계를 따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minfree 설정

minfree는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여유 공간의 비중을 나타냅니다. 이 값을 높게 설정하면 파일 시스템의 여유 공간이 늘어나게 되고, 낮게 설정하면 파일 시스템이 꽉 차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음은 minfree 설정을 바꾸며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예시 코드입니다.

(minfree 5%) # mkfs.ext4 /dev/sdb1
(minfree 1%) # mkfs.ext4 -m 1 /dev/sdb1
(minfree 5%) # tune2fs -m 5 /dev/sdb1
  • 첫 번째 줄에서는 minfree를 5%로 설정하고, /dev/sdb1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두 번째 줄에서는 minfree를 1%로 설정하고, /dev/sdb1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세 번째 줄에서는 /dev/sdb1의 minfree를 5%로 바꿉니다.

 

mkfs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 생성

이제 mkfs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mkfs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하나의 장치(보통 하드디스크 파티션)를 대상으로 합니다. 장치 이름은 /dev/sda1, /dev/sdb2와 같은 디스크 장치 이름 또는 /, /usr/, /home과 같은 파일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경로가 사용됩니다.

다음은 예시 코드입니다.

# mkfs.ext4 /dev/sdb1
  • /dev/sdb1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파일 시스템 정보 확인

만약, 만들어진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dumpe2f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umpe2fs /dev/sda1
  • 디바이스 /dev/sda1의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블록 크기, 파일 시스템의 블록 수 및 아이노드 수와 같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파일 시스템 정보 확인

만약, 만들어진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dumpe2f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umpe2fs /dev/sda1
  • 디바이스 /dev/sda1의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블록 크기, 파일 시스템의 블록 수 및 아이노드 수와 같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선수작업:

파티션 설정 : /dev/sdc1(1G)
# fdisk /dev/sdc
# fdisk -l /dev/sdc

위 명령어를 통해 새로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dev/sdc1에 1G 크기의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 mkfs.ext4 -m 10 /dev/sdc1
mke2fs 1.41.12 (17-May-2010)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Stride=0 blocks, Stripe width=0 blocks
65280 inodes, 261048 blocks
26104 blocks (10.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268435456
8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8160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4096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This filesystem will be automatically checked every 33 mounts or
180 days, whichever comes first.  Use tune2fs -c or -i to override.

위 명령어를 통해 /dev/sdc1 장치에 10% 예약 블록이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 mkdir /raid0 /raid1

위 명령어를 통해 /raid0 및 /raid1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 mount /dev/sdb1 /raid0
# mount /dev/sdc1 /raid1

위 명령어를 통해 /dev/sdb1을 /raid0에, /dev/sdc1을 /raid1에 마운트합니다.

# df -h /raid0 /raid1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b1       988M  1.3M  977M   1% /raid0     /* minfree : 1% */
/dev/sdc1       988M  1.3M  885M   1% /raid1     /* minfree : 10% */

위 명령어를 통해 마운트된 /raid0 및 /raid1의 디스크 용량과 사용량, 여유 공간, minfree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nfree 공간 확인

파일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minfree 공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minfree 공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une2fs –l /dev/sdb1 | grep –i Reserved
		-> Reserved block count:  2610
		# tune2fs -l /dev/sdc1 | grep -i Reserved
		-> Reserved block count:  26104

파일시스템을 생성한 후 minfree 공간을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tune2fs -m 1 /dev/sdc1
tune2fs 1.41.12 (17-May-2010)
Setting reserved blocks percentage to 1% (2610 blocks)
# df -h /raid0 /raid1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b1       988M  1.3M  977M   1% /raid0
/dev/sdc1       988M  1.3M  977M   1% /raid1

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일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파일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무예) 실무에서 minfree 공간을 조정하는 경우

파티션의 크기가 minfree 5%를 사용하는 실무에서는 공간 부족 문제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티션의 크기를 늘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일반적으로는 파티션 풀(Full) 상태에서 불 필요한 파일을 삭제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해결합니다. 하지만, 불 필요한 파일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며, 원인을 분석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was/logs 파티션(Full, /dev/sdb1)에서 minfree를 5%에서 1%로 줄이는 작업을 수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작업 절차를 따를 수 있습니다.

(ㄱ) minfree를 1%로 줄이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십시오.

# tune2fs -m 1 /dev/sdb1

(ㄴ) 불 필요한 파일을 삭제합니다. (ㄷ) 공간 부족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해결합니다.

또한, df -h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공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f –h
-------------------------------------------------------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1              17G  3.9G   12G  26% /
/dev/sda8             487M   11M  451M   3% /data1
/dev/sda7             487M   11M  451M   3% /data2
/dev/sda6             487M   11M  451M   3% /data3
/dev/sda5             487M   11M  451M   3% /data4
/dev/sda3             487M   11M  451M   3% /home
-------------------------------------------------------

위 결과를 보면, 파일 시스템의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공간을 활용하여 파티션의 크기를 늘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