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일에는 권한이 적용되는 세 가지 범주가 있다.
권한 | 설명 |
r | 읽기 |
w | 쓰기 |
x | 실행 |
2. 파일은 사용자, 단일 그룹 및 기타 사용자가 소유한다.
4. 사용자 권한이 그룹 권한을 재정의하고, 그룹 권한이 기타 권한을 재정의한다.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chmod
리눅스 chmod - 제타위키
zetawiki.com
5. ls 명령에 -l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 권한과 소유권이 모두 포함되도록 파일 목록이 확장된다.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ls
리눅스 ls - 제타위키
zetawiki.com
7. 권한을 나타내는 두 가지 방법(심볼릭(문자) 및 숫자(자릿수))이 있다.
기호 | 설명 |
u | user |
g | group |
o | other |
a | all |
연산기호 | 설명 |
+ | 추가 |
- | 제거 |
= | 지정(기존의 속성 값은 삭제) |
권한 | 8진수 |
r | 4 |
w | 2 |
x | 1 |
8. chown 명령은 파일 소유권을 변경한다.
리눅스 디렉토리 파일 소유자 변경 chown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9. -R 옵션은 디렉터리 트리의 소유권을 재귀적으로 변경한다.
10. 인수 없이 umask 명령을 실행하면 쉘의 현재 umask 값이 표시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Umask
umask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mask는 컴퓨팅에서 새로 만들어진 파일에 파일 권한을 어떻게 설정할지를 제어하는 마스크 설정을 결정하는 명령어이다. mask, umask 명령어와 umask 함수는 원래 유닉스의 구현체의 일부가 아니었
ko.wikipedia.org
11.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에는 umask가 있다.
12. Bash의 기본 umask 값은 /etc/profile 및 /etc/bashrc 파일에 정의된다.
https://zetawiki.com/wiki//etc/profile
/etc/profile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https://zetawiki.com/wiki//etc/bashrc
/etc/bashrc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CentOS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관리 요점정리 (0) | 2021.07.18 |
---|---|
[리눅스]ACL(접근 제어 목록)을 사용하여 파일에 대한 액세스 제어 요점정리 (0) | 2021.07.18 |
[리눅스]로컬 사용자 및 그룹 관리 요점정리 (0) | 2021.07.18 |
[리눅스]텍스트 파일 생성, 보기 및 편집 요점정리 (0) | 2021.07.18 |
[리눅스]명령줄에서 파일 관리 요점정리 (0) | 2021.07.18 |